콘텐츠공유
분류
보건복지공통교육>기본교육>기본교육
유형
기타
제작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연구협력지원팀
게시
관리자
등록
2024-06-14
평점
별1 별2 별3별4 별5
0
(0)
로그인
※로그인 후 이용하면 학습이력이 저장됩니다.
콘텐츠 내용
○ 역량별 현업적용 사례
- ‘문제 인식 및 해결’ 역량의 경우, 교육생들은 기존 정책에 대한 개선안 수립, 운영(시설, 인력, 프로세스)측면의 효율화 및 실행 계획, 예산 배분 및 집행, 인력 관리(채용, 배치, 교육훈련), 새로운 역할에 대한 수행 계획, 각종 보고서 작성 등의 상황에서 DC에서 배운 것을 상기하고 적용함
- ‘조정·통합’ 역량의 경우, 교육생들은 부서 내, 부서 간, 외부의 이해관계자 간에 다양한 이슈로 조정을 하는 상황, 그리고 본인이 합의 당사자가 아니라 상충되는 입장의 여러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중간에서 전달하고 절충안을 제시하는 중간자적 상황에서도 DC에서 배운 것을 상기하고 적용함
- ‘성과 관리’ 역량의 경우, 교육생들은 기존 업무의 성과 관리와 관련한 제반 상황(팀 전체의 성과 관리, 팀원들의 개인적 성과관리, 관련 기획안 작성) 뿐 아니라 이전에 해 본적 없는 신규 업무에 대한 성과 관리, 그리고 과제 상황에 자주 등장하는 인력 공백이나 돌발 상황에 따른 업무 재배분 또는 긴급 대응 등의 상황에서 DC에서 배운 것을 상기하고 적용함
- ‘의사소통’ 역량의 경우, 교육생들은 회의 주재, 직원 면담, 민원/노조/외부 기관이나 기업에 불리한 요구를 하거나 받기, 중간적 입장에 조정과 같은 다양한 형태, 다양한 정서적/논리적 소통 상황에서 DC에서 배운 것을 상기하고 적용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