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식약이 현장탐구#10] 생활 속 유해물질 노출 주의

분류
보건교육>식품-의약품안전>식품-의약품안전
유형
카드뉴스
제작
KOHI 식의약안전교육단
게시
관리자
등록
2023-09-19
평점
별1 별2 별3별4 별5 5.0 (1)
평점주기
로그인 ※로그인 후 이용하면 학습이력이 저장됩니다.
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내용

[식약이 현장탐구#10] 생활 속 유해물질 노출 주의나도 모르는 사이에 유해물질에 노출 어떻게 줄일까? 우리는 일상속에서 포장용기, 화장품, 식품, 장난감, 비누, 샴푸 등 여러 유해물질과 마주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일상을 편하게 도롸주지만, 항상 환경질환에 노출되어있다는 점! 이러한 유해 물질을 일상 속에서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요?1. 유해물질-크롬 으롬(크로뮴)이란? -청백색의 광택을 띄고 부식에 강해 합금재료로 쓰이는 금속 -스테인레스 강철의 부식 및 변색을 방지하며, 다양한 색을 낼 수 있어 장식용 도구로 사용되거나 염료나 영양제(당과 지질 대사)로 사용됨 도금제춤, 화학제품, 염료, 영양제, 노출원 및 경로 -크롬은 식품 중 육류, 어류, 과일, 채소류, 식이보충제 등에 들어있을 수 있음, -색조화장품, 어린이용품(유아매트, 완구류 등)이나 위생용품 - 산업폐기물 처리에 의해 오염된 토양, 대기, 식수에 포함되어있을 수 있음알아보기 - 크롬, 생활 속 크롬, -크롬은 식품에서 주로 검출, - 해조류>유지류>종실류 및 견과류>조미료 순으로 검출됨, 해조류:미역, 김, 멸치/유지류:참기름/종실류 및 견과류:흰꺠/조미료:후추(분말) 등, 인체에 미치는 영향 - 크롬의 체내 흡수율이 낮아 대부분 대변으로 배출되나 인체에 들어오면 뼈, 신장, 신장, 간 등에 축적됨, -DNA손상(유전독상, 돌연변이), 피부 알레르기, 신장, 간, 혈액세포 손상을 일으킬 수 있음, 통합위험성평가결과 위해우려가 없는 수준(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2021년)알아보기- 크롬, 크롬 노출을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올바른 식습관 -국수나 당면 삶은 물은 버리기, -티백 형태의 논차와 홍차는 2~3분간만 우려내고 건져내기, 금속제 식품 기구/용기 사용법 -금속제 기구/용기를 처음 사용하기 전 식초를 첨가한 물을 넣고 10분 정도 끓인 후 씻어서 사용 -프라이팬, 냄비 조리 후 다른 용기에 옮겨서 보관, -금속 수세미 등 날카로운 재질로 씻지 않기2. 유해물질-주석, 주석이란? -무르고 쉽게 늘어나며 녹는점이 낮아 가공이 쉬운 은백색의 금속, -철, 아연 등의 부식 방지를 위한 도금, 과일,채소 통조림 내부 코팅, 선박 바닥의 페인트(방오 도료), 폴리염화비닐(PVC) 용기, 살균제, 방부제 등에 사용됨, 노출원 및 경로 - 캔제품에 담긴 식품이나 음료 섭취가 대부분, 어류나 어패류에 축적될 수 있음,-주석 도금 제품, 폴리염화비닐(PVC) 용기나 파이프 등에 존재할 수 있음, -대기, 토양 물을 통해 체내로 들어올 수 있음(쓰레기 소각, 방오도로 용출 등) 통조림, 캔 등 / PVC용기, 파이프 / 오염된 토양, 산업용수 등알아보기 - 주석, 생활 속 주석, -주석은 캔제품에서 주로 검출(전체 노출량의 98%)-주석은 채소과일 통조림 등을 개봉 후 통조림째 보관하면 코팅된 주석이 산소와 접촉하여 담겨있는 식품으로 들어갈 수 있음,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식품 등을 통해 섭취한 주석은 체내에 쉽게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대변과 소변으로 배설됨, - 통조림 내부 코팅 등에 사용되는 무기주석화합물을 다량으로 섭취하게 되면 복통, 빈혈, 간과 신장 기능 이상이 발생할 수 있음, 캔 제품 중 주석 노출량 평가결과 전 연령에서 안전한 수준(식품의약품안전처, 2015년)주석 노출을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올바른 식습관, 찌그러지거나 파손된 캔제품은 가급적 구매하지 않기, 캔 제품을 개봉한 후에는 다른 용기에 옮겨 보관하기, 수산물 섭취 시 중금속이 축적되는 내장 제거하기, 중금속을 체외로 배출하는 김 , 미역 등 해조류 섭취하기, 생활습관 황사나 미세먼지가 많은 날은 외출 시 마스크 착용하기, 운동을 통해 땀으로 배출하기(체내의 노폐물과 중금속)3.유해물질 파라벤, 파라벤이란? 파라하이드록시 벤조산의과 알코올이 결합하여 형성된 백색 결정의 형태로 향이 없고 물에 잘 녹지 않는 물질, 곰팡이 등 진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 작용이 있어 보존제로 사용됨, 노출원 - 보존제로 지정된 파라벤은 잼류, 간장류, 소스, 과일류, 재소류의 표피 등 식품과 치약, 기초화장품, 인체 세정용 제품, 식품용 세척제, 섬유유연제, 문신용 염료 등에 사용되고 있음, 잼류, 간장류 소스 증, 기초화장품, 세정제, 물티슈 등, 치약, 가글제, 생활화학제품 등생활속 파라벤, 파라벤은 화장품, 위생용품,생활화학제품, 식품 등에서 주로 검출, 색조화장용 화장품, 두발용, 인제세정용 화장품, 세척제, 섬유유연제, 간장류, 과일껍질에 포함되어 있음, 인체에 미치는 영향, 파라벤은 주로 경구 및 피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인체에 특이한 독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빠르게 배설되어 체내 축적 안됨)-우리나라에서 보존제로 사용이 허가된 파라벤은 매우 소량이므로 인체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었음, 파라벤 4종 통합위해성평가결과 전 연령에서 안전한 수준(식품의약품안전처, 2019년)파라벤 노출을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만 3세 이하 영유아, 가급적 파라벤이 함유되지 않은 제품 사용 권고, 영유아용 및 기초화장품 제품 사용 후 씻어내지 않는 제품에 한해"만 3세 이하 영우아의 기저귀가 닿는 부위에는 사용하지 말 것"이라는 주의사항 표시 문구 기재됨, 파라벤 함유 제품 사용금지, 파라벤은 국제적으로 안정성이 확인 완료 후 허가된 물질로, 사용 기준을 준수한 제품이라면 과도하게 우려할 수준은 아님생활 속 유해물질 안전정보 지속적으로 확인하세요! '내손안' 어플리케이션, 식품안전정보 필수앱 '내손안'활용하기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 홈페이지>전문정보>잔류물질정보>유해물질정보, 식품의약품안전처 홈페이지, 식약처 누리집(www.mdfs.go.kr)>법령/자료>홍보물 자료>일반홍보물

관련 콘텐츠

이콘텐츠 평점을 몇점 주시겠어요?

신고하기

해당 콘텐츠를 신고 하시려는 사유 및 내용을 입력해주세요.

다운로드 받기 전! 참여부탁드립니다!

1.직업









2.콘텐츠 사용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