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식약이 현장탐구#9] 새로 등장한 배양육, 정체가 뭘까?

분류
보건교육>식품-의약품안전>식품-의약품안전
유형
카드뉴스
제작
KOHI 식의약안전교육단
게시
관리자
등록
2022-07-29
평점
별1 별2 별3별4 별5 5.0 (1)
평점주기
로그인 ※로그인 후 이용하면 학습이력이 저장됩니다.
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콘텐츠 내용

[식약이 현장탐구#9] 새로 등장한 배양육, 정체가 뭘까?배양육 요모조모 배양육이란 동물체로부터 채취한 세포를 증식하여 생산하는 대표적인 대체육류입니다 배양육 정말 고기일까 배양육 일반 육류보다 환경에 좋을까 배양육 어떤 파급력이 있을까 이번시간은 배양육의 여러 이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영향평가식품의 용어 정리 식품의 용어는 단순히 명칭의 기능을 벗어나 법체계, 규제수준, 사업자 대상 범위 등 다양한 행정 처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식품의 용어 정리는 필수적입니다 식품의 용어 사업자 대상 행정처분 규제 수준 위생 관리 법체계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영향평가배양육 정말 고기肉일까 가족과 인조가죽이 다르듯, 배양육은 기조 육류와 맛, 질감적인 측면에서 동일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배양육의 육肉이라는 문자로 인해 배양육이 기존육류와 똑같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련 부처들은 논의를 통해 배양육 관련 용어와 개념에 대한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영향평가배양육 친환경 논란 배양육은 친환경과 동물복지 측면에서 윤리성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아직 찬반논란이 있는 부분입니다 VS 찬성하는 입장 동물 살생을 줄이고 목축으로 인한 농경지 부족을 해소할 수 있지 가축에서 나오는 탄소 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 거야 Yes 반대하는 입장 배양육 제조 시스템도 이산화탄소가 발생해 원료로 사용되는 가축에는 윤리적 문제가 없을까 No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영향평가배양육의 파급효과 신산업 창출 축산업의 규모가 커지기 어려운 한국 배양육 원천기술을 확보한다면 동물성 단백질 식품의 경쟁력을 높여 해외 수출과 같은 신산업 창출이 가능해집니다 식량안보 인구 증가로 우수한 동물성 식품에 대한 수요증가 기후 위기에 따른 환경문제 속에서 배양육은 지속가능한 단백질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의약품 등의 안전기술 영향평가대체단백질의 시대 다가오는 대체단백질의 시대 빠르게 신소재 식품이 나타나는 만큼 가짜 정보로부터 객관적인 시선으로 이슈들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식약이 현장탐구#9]] 식의약안전분야 최신 이슈를 소개합니다. (새로 등장한 배양육, 정체가 뭘까?) - 배양육 정의와 최근 이슈에 대해 알아보기

관련 콘텐츠

이콘텐츠 평점을 몇점 주시겠어요?

신고하기

해당 콘텐츠를 신고 하시려는 사유 및 내용을 입력해주세요.

다운로드 받기 전! 참여부탁드립니다!

1.직업









2.콘텐츠 사용목적